🤔 배운 것과 생각해볼 것
[1] 💡 네트워크
1. 💡 브라우저는 어떻게 동작하나요?
- URI, URL, URN
- DNS
- 라우팅
- ARP, IP, MAC
- TCP
- 웹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 사이의 응답
- HTTP 프로토콜
2. http와 https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나요?
3. http가 있는데도 https가 탄생한 이유는 무엇일까요?
참고자료
[네이버 D2]브라우저는 어떻게 동작하는가?
https://d2.naver.com/helloworld/59361
DOM은 정확히 무엇일까?
https://wit.nts-corp.com/2019/02/14/5522
DOM은 정확히 무엇일까? | WIT블로그
최근 잘못 이해하고 있었던 DOM에 대해 정확한 개념을 정리해 보고자 What, exactly, is the DOM? 문서를 번역해 보았습니다.
wit.nts-corp.com
[2] 시간
1. 컴퓨터는 어떻게 시간을 표기하나요?
2. 컴퓨터를 꺼도 왜 컴퓨터 시간은 변하지 않을까요?
- RTC, 시스템 클럭
3. Unix Time은 무엇인가요?
4. 네트워크 타임 프로토콜(NTP)는 무엇인가요?
5. 💡 자바스크립트 표준 빌트인 객체 Date에 대해서 잘 알고 있나요?
[3] 암호화
1. 단방향 암호화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나요?
2. 양방향 암호화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나요?
3. bcrypt가 무엇인지 간단하게 설명할 수 있나요?
4. AES, RSA가 무엇인지 간단하게 설명할 수 있나요?
[4] 선언형(명령형) 프로그래밍과 함수형 프로그래밍, 무엇이 더 좋은가요?
💡 무엇이 더 좋고, 나쁘다 할 수 없습니다. 왜냐하면 목적에 따라 달라질 것이기 때문에..
전통적인 방식의 프로그래밍은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접근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. (바텀-업 방식)
함수형 프로그래밍은 무엇을 해결해야 할지 접근하는 탑-다운 방식인 것 같다. 알고리즘 문제를 풀 때는 함수형 프로그래밍보다 선언형으로 프로그래밍 하는 것이 더 나을 때가 많은 것 처럼, 목적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다.
[5] 객체지향과 함수형 프로그래밍, 무엇이 더 좋은가요?
💡 패러다임의 문제입니다.
위 질문과 비슷한 질문같다. 객체지향과 함수형 프로그래밍, 모두 필요하다. 어떤 것이 더 좋고 나쁘다고 절대 말할 수 없다. 가장 중요한 것은 지금 내가 무엇을 해야하는지, 내가 무엇을 하려하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. 그리고 본인이, 팀이 판단해서 필요한 방법을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.
[6] 💡 이벤트 루프
1. 이벤트 루프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나요?
2. Microtask Queue, Animation frames가 무엇인가요?
참고자료
<어쨌든 이벤트 루프는 무엇입니까?>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8aGhZQkoFbQ&list=PL8gIGgRPUURV9t8U2bDHbHOETBb3Eclzc&index=88&t=8s
<우테코 [10분 테코톡] 🍗 피터의 이벤트루프>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wcxWlyps4Vg&list=PL8gIGgRPUURV9t8U2bDHbHOETBb3Eclzc&index=87
<Velog - thms200 님의 포스팅>
https://velog.io/@thms200/Event-Loop-%EC%9D%B4%EB%B2%A4%ED%8A%B8-%EB%A3%A8%ED%94%84
Event Loop (이벤트 루프)
이번 글은 Event Loop (이벤트 루프) 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한다. Event Loop? Event Loop 출처 How JavaScript works: an overview of the engine, the runtime, and the call stack Event Loop는 MDN 문서로 검색하면 "큐의 다음 메시
velog.io
[7] 💡 자바스크립트 모듈 시스템
1. 자바스크립트는 처음부터 모듈화가 가능했을까요?
2. 자바스크립트에 모듈 시스템이 등장하게 된 배경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나요?
3. 자바스크립트 모듈 시스템의 몇 가지 특징은 무엇이 있을까요?
4. 웹팩, 바벨과 같은 번들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일까요?
[8] 유니코드
1. 문자는 어떻게 웹에서 보여질까요?
2. 유니코드와 CCS, CES, TES를 연결지어 설명할 수 있나요?
<참고자료>
https://studyforus.tistory.com/167
한글 인코딩 종류 및 문제점 파악하기 (UTF-8 vs. EUC-KR)
인코딩 방식 이해하기 한글 인코딩 종류 윈도우를 기본 운영체제로 사용하였을 때는 전혀 느끼지 못했던 인코딩 방식이 웹서버를 운영하면서 인코딩 표준을 따라가다 보니 여러 문제점이 생겼
studyforus.tistory.com
[9] 정규표현식
💡 정규표현식을 이용해서 개미수열을 풀어보세요
<참고자료>
개미수열
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C%9D%BD%EA%B3%A0_%EB%A7%90%ED%95%98%EA%B8%B0_%EC%88%98%EC%97%B4
읽고 말하기 수열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
이 선들은 23 (빨강), 1 (파랑), 13 (보라), 312 (초록)으로 시작하는 읽고 말하기 수열의 자릿수를 나타낸다. 이 선은 (로그 수직 척도로 나타냈을 때) 기울기가 콘웨이 상수인 직선으로 접근한다. 읽
ko.wikipedia.org
[10] 💡 쿠키와 세션, 웹 스토리지
1. 캐시, 쿠키, 세션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나요?
💡 오늘의 회고
강의 내용이 많다기 보다는 주제가 꽤 다양했던 날이었다. 주제가 다양하다보니, 조금 깊게 들어가면 들어갈수록 역시 끝이 없고... 또 정리를 너무 잘하고 싶다보니 글의 짜임새를 어떻게 구성할지, 어떤 주제별로 나눌지, 아니면 아예 주제를 하나하나 나눌지 고민만 됐다... 그러던 중, 1기 사휘님과 민수님의 조언에 조금 마음을 덜었다. 물론 잘 정리하면 좋겠지만 하루만에 많은 주제를 잘 정리하기에는 쉽지 않을 것 같다. 모든 주제를 완벽하게 정리하는 것은 힘들겠지만... 그래도 오늘은 잠을 좀 덜 자기로... 마음을 먹었으니 단 하나의 주제라도 정리해보자.
미래의 나에게...
본 글에서 전구💡 표시가 있는 내용은 반드시 깊게 공부해서 정리할 것!!
'프로그래머스 데브코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데브코스 5일차] 트리, 이진 트리, 힙, 이진 탐색 트리, 트라이 (2) | 2022.03.26 |
---|---|
[데브코스 4일차] 큐, 해시테이블, 그래프 (4) | 2022.03.24 |
[데브코스 3일차]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(2) | 2022.03.24 |
[데브코스 1일차] JS 배열과 객체 (0) | 2022.03.22 |
프로그래머스 데브코스 2기 합격기념 기술블로그 오픈 (짤막한 후기 있음) (0) | 2022.03.21 |